주식투자/해외주식뉴스

📉 2025.04.07 트럼프 관세 충격에 S&P·나스닥 약세장 진입! 이번주 CPI·실적 발표 주목

트레이드마인드 2025. 4. 7. 19:09
728x90
반응형
SMALL

 

“시장에 가장 위험한 말은 ‘이번엔 다르다’이다.” – 존 템플턴 (Sir John Templeton)

 

 

안녕하세요, 트마입니다.

이번 주는 2020년 팬데믹 이후 최악의 주간 하락을 기록한 지난주 시장을 뒤로하고,

‘트럼프 관세’ 여진과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라는 두 가지 큰 이슈를 맞이합니다.

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시장에서, 투자자들은 냉정한 판단을 요구받고 있습니다.

 


📉 지난주 시장 요약: 팬데믹 이후 최악의 하락

 

트럼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10% 관세 정책 발표(4월 5일 시행)와

이에 대응한 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가 시장을 직격했습니다.

 

  • 다우 지수: -8% (약 3,300포인트 하락) → 조정 국면 진입
  • S&P 500: -9% → 고점 대비 -20% 근접
  • 나스닥: -10% → 공식적으로 베어마켓(약세장) 진입

 

시장은 이제 “베어 케이스(최악 시나리오)”가 아닌,
“기본 시나리오(Base case)”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 주요 전략가들의 판단입니다.

 


🔍 이번 주 시장 포인트

🏛️ 정책 리스크: 협상과 추가 보복의 가능성

  • 트럼프의 관세는 1차 10%가 4월 5일 발효
  • 추가 관세는 4월 9일 예정
  • 유럽연합(EU) 등 주요 무역 파트너의 보복 관세 미발표, 향후 리스크로 작용 가능성

 

📌 Morgan Stanley의 마이크 윌슨은 다음과 같이 경고했습니다.

 

“고관세 유지 + 협상 지연 + 추가 무역 보복 조치 → 경기침체 확률 상승”

 

S&P 500이 4,600포인트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공개하기도 했습니다.

이는 2023년 12월 수준으로, 현재 대비 약 -15%입니다.

 


🏦 실적 시즌 시작: ‘실적’보다 ‘전망’이 중요

 

이번 주 금요일부터 주요 은행들의 실적 발표로 1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됩니다.

 

  • 발표 기업: JPMorgan, BlackRock, Wells Fargo, Morgan Stanley
  • 수요일: Delta (DAL), Constellation Brands (STZ)

 

📌 현재 1분기 실적 예상치는 -4.2% 하향 조정됨 (FactSet 기준)

이는 최근 5년 평균 하향 폭(-3.3%)보다 큼

 

S&P 500은 연간 기준으로 +7% 이익 성장 예상,
하지만 이는 관세 여파 반영 전 수치입니다.

 

→ 기업들이 이번 실적 발표에서 밝히는 2025년 하반기 가이던스가 시장을 흔들 수 있습니다.

 


📈 경제지표 캘린더 요약

요일주요 일정

주요 경제지표 없음 / Levi’s 실적
소기업 낙관지수 / Tilray, Walgreen 실적
도매재고, FOMC 의사록 / Delta 실적
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 (핵심 포인트)
생산자물가지수(PPI), 소비자심리지수 / 은행 실적 다수 발표

 

📌 CPI 예상치

  • 전년대비: 2.6% (이전 2.8%)
  • 핵심 CPI: 3.0% (이전 3.1%)

 

하지만 Wells Fargo는 경고합니다:

 

“갑작스러운 무역정책 변화는 CPI 발표가 이미 지나간 뉴스처럼 느껴지게 만든다.”

 


 

🧠 트마의 인사이트

 

  1. 관세 리스크는 이제 시장의 ‘중심축’시장은 현재 ‘불확실성’ 그 자체를 리스크로 반영 중입니다.
  2. → 실적보다 정책. 수치보다 심리. 기술보다 정치.
  3. 이번 실적 시즌은 숫자보다 ‘전망’에 주목“하반기 어떻게 될 것인가?”에 대한 기업의 입장이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  4. → 1분기 성적은 중요치 않음.
  5. IPO 시장도 일시 중단→ StubHub, eToro 등은 상장 계획 연기
  6. → Newsmax, CoreWeave 등 상장 직후 급등 이후

 

→ 이는 시장 전반의 유동성 위축 가능성을 암시합니다.

 


 

✅ 오늘의 실전 과제

 

📌 내 포트폴리오에서, ‘관세 영향’을 받을 수 있는 종목을 점검해보세요.

 

  1. 매출의 해외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요?
  2. 공급망이 아시아나 유럽에 연결돼 있나요?
  3. 실적 발표를 앞둔 기업이 있다면, 시장 기대 대비 하락 위험은 없나요?

 

📝 댓글로 여러분의 상황이나 생각을 공유해주세요.

트마가 함께 고민해드릴게요.

728x90
반응형
LIST